양봉수 블로그
  • Introduction
  • Cookie SameSite
  • Connection Reset
  • 자주쓰는 쉘스크립트 모음
  • Tshark
  • 네트워크프로그래밍
  • [Spring 개발 이슈모음]
    • issue1 ~ issue21
    • issue22 ~
  • [Java8 in Action]
    • Part1 기초
    • Part2-1 함수형 데이터 처리
    • Part2-2 함수형 데이터 처리
    • Part3-1 효과적인 자바8 프로그래밍
  • [Effective Java]
    • 객체의 생성과 삭제
    • 모든 객체의 공통 메서드
    •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 제네릭
    • 열거형(enum)과 어노테이션
    • 람다와 스트림
    • 메서드
    •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원칙들
    • 예외
    • 병행성
    • 직렬화
  • 토비의 스프링3.1
    • 정의, IoC DI개념, Bean 라이프사이클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 테스트
    • 템플릿
    • 예외
    • 서비스 추상화
    • AOP
    • 스프링 핵심 기술의 응용
    • 스프링 프로젝트 시작하기
    • IoC 컨테이너와 DI
  • [자바 성능 튜닝 이야기]
    • 내가 만든 프로그램의 속도를 알고 싶다
    • 왜 자꾸 String을 쓰지 말라는거야?
    • 어디에 담아야 하는지
    • 지금까지 사용하던 for 루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고?
    • static 제대로 한번 써 보자
    • 클래스 정보 어떻게 알아낼 수 있나
    • 로그는 반드시 필요한 내용만 찍자
  • [대용량 아키텍처와 성능 튜닝]
    • 레퍼런스 아키텍처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 REST의 이해와 설계
  • 켄트백 구현패턴
  • 클린코드
  • 클린코더스 강의 정리
  • 클린아키텍처
  • 네이버를 만든 기술, 자바편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객체지향과 디자인패턴
  • 소프트웨어 품질관리(NHN은 이렇게한다)
  • 웹프로그래머를 위한 서블릿 컨테이너의 이해
  • 웹을 지탱하는 기술
  • 마이바티스를 사용한 자바 퍼시스턴스 개발
  • HashMap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 자바의 정석
  • 슈퍼타입토큰(Super Type Token)
  • Singleton
  • Identity
  • Finalizer attack
  • Git Flow
  • nginx gzip 옵션
  • JUnit+Mockito vs Groovy+Spock
  • Apache and Tomcat
  • Understanding The Tomcat Classpath
  • 실용주의프로그래머 익스트림프로그래밍
  • 애자일적용후기
  • Living Documentation
  • specification by example
  • 확률과 통계
  • Multivariate Distributions
  • 가설검정
  • 단순회귀분석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Was this helpful?

실용주의프로그래머 익스트림프로그래밍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1.자신의 기술에 관심과 애정을 가져라 2.자신의 일에 대해 생각하면서 일하라

  • 모든 개발 과정에서, 매일, 내가 내리는 모든 결정을 지속적이고 비판적으로 평가

  • 일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일을 비평하고 분석

3.DRY 원칙을 지켜라 (Don’t Repeat Yourself) 4.프로토타입을 통해 학습하라 5.리팩터링은 어떤 것이든 ‘잘못’되었다고 생각될 때, 그것을 변경하는 일을 주저하면 안된다. 언제나 바로 지금이 최적기다. (일찍 리팩터링하고 자주 리팩터링하자) 6.풀기 어려운 문제에 맞닥뜨렸을때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다음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라

  • 더 쉬운 방법이 존재하는가?

  • 진짜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고 있나. 그렇지 않다면 중요하지 않은 기술적 문제에 정신 팔려있는 것인가?

  • 왜 이것이 문제인가?

  • 문제를 이렇게 풀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가?

  • 반드시 이 방법으로 해야 하는가?

  •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긴 한가?

7.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이름을 지어주자 (팀의 정체성 확립의 기반을 얻는 것) 8.문서가 애초부터 전체의 일부가 되게 하고, 나중에 집어넣으려고 하지 말라.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1. XP는 오늘 내가 기울인 모든 노력에 대해 자신을 인정해 주는 것이다.

  2. XP는 내일은 좀 더 잘해보려고 애쓰는 것이다.

  3. ‘받아들인 책임’의 원칙. 스토리를 구현할 책임을 진 사람은 궁극적으로 스토리의 설계, 구현, 테스트까지 책임을 진다.

  4. 소프트웨어 개발은 통찰력 싸움이다. 그리고 통찰력은 준비되고, 잘 쉬고, 긴장이 풀린 마음에서 생겨난다.

  5. 점진적 설계. 시스템 설계에 매일 투자해라

  6. 짝 프로그래밍은 팀 동료들이 서로에게 품질에 대한 자신의 헌신을 보여주고 좋은 품질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 인가에 대한 서로의 기대치를 통일 시키는 일에 도움이 된다.

  7. 설계하기. 설계 개선을 멀리 까지 앞서 나가게 하고 싶은 유혹에 저항하라. 오늘 여러분에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만 개선하는 습관을 길러라. 팀 전체의 생산성과 내 오늘의 작업에 균형을 맞춰라(지금 당장 설계를 수정함으로써 오늘 내가 할 일을 못한다 하더라도 해야만 하는 일이다)

PreviousUnderstanding The Tomcat ClasspathNext애자일적용후기

Last updated 5 years ago

Was this helpful?